장르 : 범죄 개봉일 : 2009년 05월 28일 영화평점 : 10점 만점 9.5점 관객수 : 298만명 감독 : 봉준호 등장인물 : 원빈, 김혜자, 진구….
어느 날 돌연 살인 의혹을 받게 된 ‘도준’ ‘마더’는 아들의 의혹을 풀기 위해 외로운 사투를 벌이게 된다.
아들..아무도 믿지말고 엄마가 도와줄게..”
동네 약재점에서 일하며 아들과 단둘이 사는 ‘마더’ 그런 그녀에게 이 세상의 전부인 ‘도준’이 있다.
28살 ‘도준’은 나이와 별개로 자신을 잘 모르는 그는 사소한 사고를 치느라 바빴고, 그의 뒷처리를 늘 ‘마더’가 맡아왔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소녀가 살해당하는 사건이 벌어지게 되는데, 그 범인이 도준에게 몰리게 되면서 아들의 의혹을 풀기 위해 동분서주하기 시작한 엄마 ‘마더’
그러나 경찰은 어떻게든 사건을 마무리하려 하지만 무능한 변호사는 돈만 밝힌다.
결국 ‘도준’을 구하기 위해 믿는 사람이 하나도 없는 ‘마더’는 범인을 찾기 시작하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도준’의 혐의는 굳어지고 있고, ‘마더’는 점점 초조해지기 시작한다.
평화롭던 한적한 마을에서 의문의 살인사건이 일어난다.
영화 ‘마더’는 살인사건을 기점으로 많은 인물들의 알리바이를 보여주기 시작했고, 많은 인물들 중 누가 범인인지 찾으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영화 내에서 ‘도준’은 정신지체 장애를 보이는 인물이지만 태어난 지 28년이 지난 어른이지만 하는 행동부터 말투까지 누가 봐도 어리석은 존재라는 것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이런 ‘도준’을 편견 없이 오직 사랑 하나로만 돌보고 지켜봐준 엄마 ‘마더’ 한 소녀의 살인사건 용의자가 자신의 아들이 지목돼 구속되자 이에 대한 의혹을 풀기 위해 이곳저곳을 파고들기 시작한다.
‘도준’ 혼자만 바라보고 살던 ‘마미’는 아들의 죄가 무죄라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의혹이 아닌 실제 범인을 찾으려 하지만 이 과정이 쉽지 않다.
그러다가 ‘진태’를 의심하고 그의 집에 몰래 숨어서 살인을 저지를 수 있는 흉기를 찾기 시작하거나 그러다가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으면 그냥 훔쳐 달아나거나 전체적인 결말을 보지 못한 상태에서 영화를 보면 아들 ‘도준’에 대한 사랑이 대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봉준호 감독의 영화는 절대 쉽게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영화는 결국 ‘도준’이 저지른 살인이고, 아무것도 모르고 있던 ‘마더’는 그런 아들 때문에 무고한 사람들을 의심하고 살인자로 몰아넣기에 바쁘다.
여러 상황을 접하면서 결국 이번 살인사건의 범인이 ‘도준’이라는 것을 알게 된 ‘마더’
그러나 이를 인정하고 싶지 않았던 그녀는 그 과정에서 살인 사건의 유일한 목격자인 고물상 주인을 찾게 된다
‘도준’이 곧 석방될 것이라는 거짓말을 하면서 자신의 아들은 무죄라는 식으로 꾸미려 했지만, 이 사실을 굳게 믿은 고물상 주인은 자신이 직접 얼굴을 확인하고 있었다.
그럴 리가 없다며 다시 한 번 경찰에 신고하려 하지만 그때 ‘마더’가 이성을 잃고 주변에 있던 스패너로 고물상 주인의 머리를 내리친다.
잠시 후 정신을 차린 ‘마더’는 튀긴 피를 깨닫지만 그제야 자신이 무슨 짓을 했는지 깨닫고 나서 고물상에 불을 내고 그대로 도주한다.
결국 살인사건의 범인은 ‘도준’이 아닌 ‘아몬인’과 ‘마더’는 경찰에서 풀려나게 되지만, ‘도준’은 우연히 불타버린 고물상 주인 집에서 ‘마더’의 침통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의미심장한 말로 ‘마더’에게 그 침통을 겪으며 “바쁘게 이런 걸 흘리면 어떡하냐”고 말하는데, 이때 이 장면 하나만큼은 진짜 싸이코패스도 울 정도로 소름이 돋았다.
살인사건의 전말을 알고 있던 유일한 존재 ‘마더’ 영화에서 끊임없이 언급된 ‘아픈 기억을 잊게 하는 경혈’을 침으로 찌르면서 유일한 진실을 알고 있던 그녀는 망각 속에 모든 것을 묻어 버린다.
영화는 처음에는 굉장히 단순하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중반부를 넘어 후반부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동안 어떻게 이런 연출을 할 수 있을까. 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왜 봉준호 감독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고, 원빈은 이전부터 지금까지 변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