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는 중요하고 오늘의 주제 1997년~2022년 대기업 TOP10 한국 시가총액 순위, 일본 시가총액 순위
산업의 무게중심은 제조업에서 디지털과 지식산업으로 이동사회적 요구와 미래성장산업에 도전해 선제대응한 기업은 살아남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은 도태됐다<< 1997년 10대 기업 순위>
1위: 현대 2위: 삼성 3위: LG 4위: 대우 5위: SK 6위: 쌍용 7위: 한진 8위: 기아 9위: 한화 10위: 롯데
92년 10대 기업 순위 << 2002년 10대 기업 순위 >>
1위 : 한국전력공사 2위 : 삼성 3위 : LG 4위 : SK 5위 : 현대자동차 6위 : KT 7위 : 한국도로공사 8위 : 한진 9위 : 포항제철 10위 : 롯데 << 2007년 10대 대기업 순위>
1위: 삼성 2위: 한국전력공사 3위: 현대자동차 4위: SK 5위: LG 6위: 대한주택공사 7위: 롯데 8위: 한국도로공사 9위: 포스코 10위: 한국토지공사 << 2012년 10대 대기업 순위>
1위: 삼성 2위: 한국전력공사 3위: 한국토지주택공사 4위: 현대자동차 5위: SK 6위: LG 7위: 롯데 8위: 포스코 9위: 현대중공업 10위: GS << 2017년 10대 기업 순위>
1위 : 삼성 2위 : 현대자동차 3위 : SK 4위 : LG 5위 : 포스코 6위 : GS 7위 : 한화 8위 : 현대중공업 9위 : 농협 10위 : 신세계 << 2022년 10대 대기업 순위>
1위: 삼성 2위: SK 3위: 현대차 4위: LG 5위: 롯데 6위: 포스코 7위: 한화 8위: GS 9위: 현대중공업 10위: 농협 포스트 코로나 이후 산업 대격변기 흐름에서 모빌리티, 2차전지, 바이오 등 신사업에 대한 투자전력과 판단이 향후 산업계를 뒤흔들 것이다.
현재의 재계 순위에서 보듯 IMF 외환위기 이후 산업 트렌드는 반도체 쪽으로 집중됐다.
향후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서 있는 기업과 함께 모빌리티 바이오 등 신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재계의 판도에 영향을 줄 것이다.
2022년 5월 국내 증시 시가총액 기준 TOP10
1위 : 삼성전자 391조원 2위 : LG 91조원 3위 : SK 78조원 4위 : 삼성바이오 56조원 5위 : 삼성전자우 47조원 6위 : 네이버 45조원 7위 : 삼성SDI 39조원 8위 : 현대자동차 38조원 9위 : 카카오 36조원 10위 : LG화학 34조원
대한민국 시가총액 순위
2022년 1월 기준 일본 시가총액 랭킹 20%
1위 도요타 376조원 2위 소니그룹 194조원 3위 키엔스 185조원 4위 리쿠르트 123조원 5위 NTT 119조원 6위 도쿄 일렉트론 111조원 7위 SBG 97조원 8위 신에츠공업 88조원 9위 미쓰비시 UFJ 88조원 10위 니혼덴산 85조원
일본의 시가총액 순위
●도요타 소니 “다 아는 기업인데 키엔스는 시각이다”
Key's는 어떤 기업인가.
공장 자동화에 필요한 센서나 측정기를 만드는 일본의 B2B(기업간 거래) 기업,
도요타에 이어 일본 시가총액 2위에 올랐다.
일본 시가총액 2위, 평균연봉 1위, 영업이익률 50% 신제품 70% 세계 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