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3일자 한수빈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구속동의안 표결에 이어 당내 ‘비이재명(비명)파’ 존재가 부각됐지만 큰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았다.
하지만 투표로 확정된 총선 패배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면서 사태가 나아지지 않으면 절규하는 세계운동이 결국 성숙기로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가 많다.
언제 행동하느냐의 문제일 뿐입니다.
지난달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이씨 구속 발의안이 민주당 의석수(169석)보다 31표나 적게 나오자 친(親)이재명(proname) – 프랙션은 비명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움직여 예상치 못한 변절자 목소리를 받았다고 밝혔고, 서비스(SNS) 등을 통해 분노한 반응을 보였다.
반면 비명세상에서는 평소 이상민·조응천 의원이 출연하는 라디오 인터뷰에서 표를 평가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다.
오히려 이들은 강성 지지자들이 이탈투표 정당으로 낙인찍은 비명계 인사들이 SNS를 통해 체포 요구에 반대표를 던졌다며 의혹을 부인하기에 바빴다.
하지만 이씨 구속동의안 표결에서 이씨 제도에 대한 불안감이 예상보다 컸던 것으로 확인돼 다시 한번 표면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친명계는 검찰이 추가 영장을 신청할 때 표결을 피하기 위해 표결에 참여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오는데 비범죄계가 더 빨리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검찰이 대장동·성남FC 사건과 관련해 이 대표를 즉각 기소하면 부패범죄 관련 공무원의 직무를 정지하는 ‘당헌 80조’가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
이씨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됐지만 검찰은 추가 조사를 거쳐 늦어도 이달까지는 이씨를 기소할 것으로 보인다.
조정식 민주당 사무총장은 지난달 26일 이씨에 대한 검찰 수사를 ‘야당 탄압’으로 규정하고 당헌 80조 적용 여부에 선을 그었다.
그러나 세속계 의원들은 원칙론을 인용해 지도부에 항의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2020년 9월 14일 당시 윤미향 의원이 횡령, 업무상 배임 등의 혐의로 기소되자 이튿날 당헌 80조에 따라 당직과 당직이 정지된 사건이 있었다.
.
지지율 하락도 방아쇠가 될 수 있습니다.
지난달 28일과 이달 2일 구속동의안 표결 이후 한국갤럽이 1주차 실시한 정기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전국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29%를 기록했다.
3월. 같은 기관이 지난해 6월 조사한 5주차 이후 처음으로 20%대로 떨어졌다.
지도부는 또 2월 셋째주 같은 기관 여론조사에서 당 지지율이 30%대로 떨어졌다가 그 다음주에 다시 34%로 떨어진 것처럼 표결 직후 여론 급락이 일시적일 가능성도 보고 있다.
장미 . 하지만 하락세가 변하지 않는다면 현 제도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 나올 수 있다.
(투표내역은 전국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늦어도 5월로 예정된 그룹 대표 선출이 또 다른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 8월 당대회 이후 형성된 지도부를 깨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새로 선출된 원내대표는 21대 국회의 마지막 원내대표로 22대 총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핵심은 타이밍입니다.
더불어민주당 당규는 5월 둘째 주에 원내대표를 선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지난해 20대 대선 패배 직후인 3월 24일 계파 대표 박홍근()이 계파 대표로 당선되자 임기 1년 만에 조기 사퇴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구속영장이 청구된 뒤 여야 간 갈등이 팽배했다.
친명과 비명이 과열됐다.
파벌장 선출도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당 규약의 타이밍을 따랐을 가능성이 있다.
투표가 끝난 뒤 강력한 지지층의 반발로 일부 파벌 간부 비밀후보들은 막후에서 유세를 중단하고 상황을 기다렸던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