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부동산 아파트 취득세율, 1주택자 다주택자 취득세 계산 방법 정리

2024년 부동산 아파트 취득세율, 1주택 다주택자, 취득세 계산 방법 정리

실거래가 조회 방법주담대 LTV, DTI, DSR최근 1주택자가 되고 싶은 마음이 솟구치고 있어 위와 같이 실거래가 조회 방법이나 주담대 LTV, DTI, DSR 등 부동산 관련 포스팅을 꾸준히 작성하면서 스터디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2024년에 부동산, 아파트를 포함한 주택을 매입하였을 때의 취득세율이 어떻게 되는지 1주택자, 다주택자별로 취득세 계산 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취득세란 재산을 취득했을 때 부과하는 세금을 말하며 재산에는 부동산, 차량, 선박, 기계, 회원권 등이 포함됩니다.
  다만, 본 포스팅에 관심을 가지고 들어오신 분들은 부동산(아파트 포함)의 경우만 알고 싶으실 테니 부동산에 한해서만 글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매입, 상속, 건축 등을 통해 본인 소유의 부동산이 생기게 된다면 취득세가 부과되니 신고 및 납부하시면 되겠습니다.
분류취득세의 계산 방법은 주택, 주택 외에 따라 나뉩니다.
통상적으로 주택에는 아파트나 빌라가 포함되며 주택 외에는 상가나 토지, 오피스텔 등이 포함되고 있으며 각각의 케이스마다 다르게 부과되고 있습니다.
취득세율 : 주택2024년 부동산 취득세율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알아볼 것은 주택에 부과되는 취득세율입니다.
1주택자 취득세율 : 1~3%다주택자 취득세율 : 1~12%위 사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주택/아파트 취득세율의 경우 주택수(1주택자, 다주택자), 취득가액 및 조정대상지역 여부에 따라 다르게 부과되니 자세한 사항은 위 표에서 확인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예시를 하나 들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이 현재 무주택자인 상태에서 10억원, 전용면적 100m² 아파트를 매입했다고 했을 때 2024년 취득세율은 어떻게 발생하는지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취득가액이 9억원 초과이기 때문에 취득세율은 3%가 적용되어 3000만원의 취득세가 발생합니다.
또한, 전용면적이 100m²가 넘기 때문에 농어촌특별세율 0.2%이 적용되어 200만원의 농어촌특별세가 발생하고 지방교육세는 취득가액 9억원 초과이기 때문에 0.3%가 적용되어 300만원이 발생합니다.
아파트를 매입하는데 발생하는 2024년 부동산 취득세의 계산 방법은 위와 같으며 총 3500만원입니다.
취득세율 : 주택 외다음으로는 주택 외, 상가/토지/오피스텔 등에 부과되는 2024년 부동산 취득세율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 외의 경우에는 취득하려는 주택의 종류와 취득 방법(매매, 상속 등)에 따라서만 차이가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위 사진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역시 이번에도 간단하게 예시로 알아보겠습니다.
약 50억원에 달하는 건물을 취득한다고 했을 때 발생하는 취득세는 어떻게 되는지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건물이기 때문에 취득세율은 4%가 적용되어 취득세는 2억원이 발생합니다.
역시 동일한 이유로 농어촌특별세율은 0.2%가 적용되어 1000만원의 농어촌특별세가 지방교육세율은 0.4%가 적용되어 2000만원의 지방교육세가 발생합니다.
건물을 매입하는데 발생하는 2024년 부동산 취득세 계산 방법은 위와 같으며 총 2억 3천만원입니다.
주택 수 포함/비포함2024년 부동산 취득세율에서는 1주택자, 다주택자 등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다르게 부과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주택 수에 합산되는 대상, 비대상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 수에 포함되는 대상에는 주택, 주거용 오피스텔, 입주권, 분양권 등이 있으며 상속 주택의 경우 상속 게시 일로부터 5년 뒤에 포함됩니다.
반면, 취득세 계산 시 주택 수에 비포함되는 대상은 가정 어린이집, 노인 복지주택, 국가 지정 문화재, 사원용 주택 등이 있으나 개별로 포함 대상으로 전환될 수도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지방세법 시행령 제28조의 2(주택 유상거래 취득 중과세의 예외)를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End오늘은 ‘2024년 부동산 아파트 취득세율, 1주택자 다주택자 취득세 계산 방법 정리’를 주제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2024년 부동산 취득세율의 경우 주택(아파트, 빌라 등), 주택 외(토지, 상가, 오피스텔)에 따라 다르게 부과되며 주택의 경우에는 취득가액 및 보유 주택수(1주택자, 다주택자)에 따라서 취득세 계산 방법도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본문의 내용을 확인하시어 취득세 계산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